학술논문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이용수 494
- 영문명
- A Comparison of Gifted and Average High-School Students' Perfectionistic Tendencie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윤성민(Seong Min Yoon) 전경남(Kyung Nam Jeon)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77~1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완벽주의는 영재성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의적 특성 중의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Dabrowski, 1972; Silverman, 1999).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영재의 완벽주의 성향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영재와 일반 학생이 완벽주의의 특정한 차원에서 어느정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다. 또한, 기존의 선행연구는 완벽주의의 일부 차원만을 고려한 경우가 많고, 완벽주의의 다차원적인 속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한 경우는 드물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완벽주의의 다양한 차원에 있어, 고등학생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연구는 영재와 일반학생의 완벽주의의 발달양상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움을 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설정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을 다양한 차원에서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Frost 외(1990)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Rhéaume 외(1995)의 완벽주의 질문지를 사용하여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을 비교하였다. 선행 연구의 결과와는 대조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고등학교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의 측정에 사용한 세 검사의 총점 및 각 검사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의 발달에 관한 논의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erfectionism has been considered an affective characteristic,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Dabrowski, 1972; Silverman, 1999). Past researches on gifted students' perfectionism during their elementary/middle school years report that gifted and average students are different in certain aspects of perfectionism to some degre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of gifted and average students' perfectionism in their high-school years. In addition, prior studies rarely consider the multidimensional properties of perfectionism, while focusing only on its certain dimensions. Considering these limitations, there is a call for a study that investigates the gifted and average high-school students' perfectionism by using diverse conceptualizations and measurements of perfectionism.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based on these rationales, is to compare gifted and average high-school students' perfectionism in the various aspects of perfectionism. For this, the current study used Frost et al.'s (1990) 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Hewitt & Flett's (1991) MP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nd Rhéaume et al.'s (1995) PQ (Perfectionism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ifted and average high-school students' perfectionism as measured by the two MPS and PQ.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and the past studies, several issues on the gifted students' development of perfectionism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