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이용수 1,317
- 영문명
- Mixed Methods on the Differences in Cognition, Emotional Behaviour,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Ordinary children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은(Kyoung Eun Kim) 이신동(Shin Dong Lee)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5~3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여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 정서행동, 양육특성을 비교 분석하고 ADHD영재아동 특성을 파악하여, ADHD영재 판별 및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양적분석 결과를 도출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심층면담의 질적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DHD영재아동은 모양 맞추기 소검사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ADHD영재아동은 창의성 하위영역 중 독창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ADHD영재아동은 ADHD하위유형 중 주의력결핍이 우세하였다. 넷째, ADHD영재아동은 ADHD아동에 비해 불안, 우울, 비행 척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질적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는 아동의 이중특수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고, 이러한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역할에 대한 기술과 지식이 부족하다고 지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자녀와의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조사 결과에서도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이 다양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일곱째, ADHD영재아동 어머니와 ADHD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양적조사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공격성, 적대감, 강압적 양육태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적조사를 통해 분석한 결과 ADHD영재아동 어머니들은 적절한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를 이겨내려는 노력을 하기 때문에 긍정적 양육태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to distinguish and to develop programs for gifted children with ADHD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and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gnition, emotional behaviour,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for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ordinary children with ADHD using the mixe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56 gifted children with ADHD, those with an IQ of 125 or higher amongst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ADHD and the 56 mothers of these children.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was hel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of the mothers of the gifted children with ADHD.
First, the factor analysis shows that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verbal comprehension, perceptual organization,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processing speed indexes amongst the K-WISC-Ⅲ. However, they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ape pairing tests. This suggests that gifted children with ADHD lacks alacrity, spontaneity, cognitive flexibility, and show consistent effort in ambiguous contexts.
Second, in the subdivision of creativity,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in fluency, elaboration, abstractness of title,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However,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iginality. The intellectual capacity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were rather discouraged connection to new methods. Furthermore, the criterion of counting the number of responses within a given time period has affected the originality of the gifted children with ADHD who tend to show in-depth attention to their interest.
Third,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dominant attention deficit. Furthermore, this suggests a possibility of this problem not being recognized by parents or teachers in comparison to those ordinary children with ADHD who externalize this problem.
Fourth, in comparison to ordinary children with ADHD, gifted children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depression, and delinquency. This means gifted children with ADHD experience difficulty in conducting emotional behaviour.
Fif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in parenting efficacy between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feel difficulties in parenting as well. The reasoning was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thers of gifted children accept and admit the child’s twice exceptionality, then experience misbehavior which leads to the perception that they lack parenting skills and knowledge required to nurture such child.
Sixth,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parenting stress i n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ly higher stress in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related to their child, child’s temperament, and expectation in academics.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lso support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suffers with various types of stress.
Seventh,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 in parenting of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and mothers of ordinary children with ADHD show that mothers of gifted children with ADHD have significantly low aggression, hostility, and coercive parenting attitude.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i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is derived from the mothers’ effort to appropriately react and fight the stress by understanding and accommodating the child’s twice exceptional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