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이용수 391
- 영문명
- Comparison of Underachievement and Happiness Between Gifted Adults and Ordinary Adults and Analysis its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Mensa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우희진(Hee Jin Woo) 유미현(Mi Hyun Yoo)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33~5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 및 행복도를 비교하고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영재 아동이 행복한 성인으로 자랄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영재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찾는 것과 동시에 행복도를 낮추는 요인들을 제거하여 영재의 인지적 발달 뿐 아니라 정서적 발달을 돕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는 45개국 멘사(IQ 상위 2% 모임) 가운데 한국을 제외한 12개국 국제 멘사 회원 총 361명과 27개 국적의 일반인 194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영재, 즉 Terman 영재가 일반인 집단보다 미성취 영재의 긍정적 특성, 부정적 특성, 전체 특성에서 더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특히 Terman 영재이면서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이 낮은 집단, 즉 비Renzulli 집단에서 미성취 영재 부정적 특성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인 영재, 즉 Terman 영재의 행복도가 일반인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이 멘사 평균보다 높은 Renzulli 영재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행복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성인 영재와 일반인 집단 모두 창의성과 과제집착력은 행복도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미성취 영재 부정적 특성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 영재 부정적 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underachievement and happiness among gifted adul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se factors. This study can ultimately help the cognitive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gifted individuals by identifying ways for gifted children to become happy adults, finding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and eliminating factors that reduce their level of happiness. Among 45 international Mensa organizations (High IQ society), 361 Mensa members from 13 countries and 194 fron the general public from 27 countrie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both Mensa members and the general public group showed traits of the underachieving gifted, their happiness levels tended to drop. Most of all, the Mensa group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average of positive and negative traits of the gifted and these two traits showed high correlation. Second, the happiness level of the group whose level of creativity and task commitmen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Mensa average was higher than the happiness level of the other group. Third, the level of creativity, task commitment, happiness of the Mensa group showed a high and positive relationship and those fact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traits of the underachieving gifted. Also, the levels of creativity, task commitment and happiness in the general public group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Creativity, task commitment and negative traits of the underachieving gifted affect their happiness significantl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