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이용수 754
- 영문명
- Exploration into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b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13 Thinking Tools in -“The Birth of Thought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강순미(Soon Mee Kang)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149~17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Root-Bernstein(2007)의 ‘생각의 탄생’에 소개된 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로 하여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유아 창의성교육 관련 강좌를 수강하는 유아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은 매주 유아 창의성 관련 이론 수업과 13가지 생각도구를 주제로 발표와 토의, 반성적 저널 작성과 총 3회의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는 ‘돌아보기’, ‘13가지 생각도구-창의적 사고력 높이기’, ‘새롭게 접근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유아교사들은 다양한 교육적 접근 방법에 의해 창의성에 관한 인식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과, 유아교사 스스로가 창의적인 교사가 되기 위해 꾸준한 자기 연수와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ased on the 13 thinking tools introduced in 'THE BIRTH OF THOUGHTS' by Root-Bernstein (2007), intends to seek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b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re preschool teachers taking courses related to childhood creativity, and were interviewed three times, with weekl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on the theme of 13 thinking tools and child creativity-related theory, and reflection journal composition. The study found out that the meaning of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by childhood teachers indicates 'self-communion,' '13 thinking tools-enhancement of creative thinking power,' and 'new approach.' It was found out that by the mea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hildhood teachers could be changed by a variety of creative education methods, and in order to be creative, steadfastness, consistent self-reflection, and aspiration are needed as wel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요약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