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이용수  412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성소연(So Yeon Sung) 성은현(Eun Hyun Sung)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195~21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8.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뤄지는 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업에서 창의성 교육을 하는데 필요한 수업 요소들(학생의 특성에 대한 고려, 교사의 전문성, 학생중심교수학습방법, 인적·물적 자원의 활용)과 창의성 교육요소들(확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과정, 개방성, 도전/호기심)을 문헌분석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추출한 후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초등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수업에서의 창의성 교육을 평가할 수 있는 수업요소 12문항과 창의성교육요소 24문항을 최종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가 입증되었으며 공인타당도도 확보하였다. 이 도구는 수업요소와 창의성교육요소를 구분하여 측정했기 때문에 보다 분석적이고 구체적인 진단을 가능하게 했다는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좋은 수업과 창의성 교육이 긴밀한 연관이 있다는 것과, 창의인성학교가 일반학교보다 창의성 교육과 학생주도적 교수학습을 잘 실천하고 있음을 확인하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s to develop student’s assessment of creativity education in an elementary classroom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four components -consideration of students’ traits, speciality of teachers,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 and physical resources- as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five components(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creative problem solving, openness, curiosity) as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The main survey was administrated to 226 students, and we developed 12 items for the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24 items for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education. We confirmed also convergent validity with Beghetto, Kaufman, Baxter’s creative self-efficacy test and Kaufman’s Kaufman-Domains of Creativity Scale: K-DOCS. The distinctive point of this assessment is that we analysed more precisely based on components of instruction and those of creativity education. We found it significant that creativity-personality model school focuses more on the creativity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than general schoo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2016).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15 (3), 195-218

MLA

성소연(So Yeon Sung),성은현(Eun Hyun Sung).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영재와 영재교육, 15.3(2016): 195-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