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이용수 189
- 영문명
- KOPPITZ-2 Response and Clinical Usefulness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함현진(Hyun Jin Ha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285~30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을 분석하여 각 집단의 반응특성과 KOPPITZ-2를 통한 집단의 분류정확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일반아동 46명, 지적장애아동 35명, 영재아동 33명의 총 114명으로, 일반아동은 군집표집 하였고, 지적장애아동과 영재아동은 목적표집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검사자 및 채점자 훈련과 KOPPITZ-2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집단 간 KOPPITZ-2 반응 차이를 분석하였고, 단계적 판별분석을 통해 집단에 대한 분류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OPPITZ-2의 발달지표총점, 정서지표총점, 반응시간은 일반 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KOPPITZ-2는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에 대하여 79.8%의 높은 분류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발달지표총점이 분류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PPITZ-2 response of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to verify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roups through the response nature of each group and KOPPITZ-2.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4 children including 46 ordinary children, 35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33 gifted children. Ordinary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cluster sampling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ere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examiner and rater training and KOPPITZ-2 test were carried out for the study. The KOPPITZ-2 respons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analyzed through the one-way ANOVA and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n the group was verified through th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when it comes to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emotional index total score of KOPPITZ-2, and reaction time. Second, KOPPITZ-2 showed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79.8% for the ordinary childr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ifted children, particularly it was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index total score made a lot of contributions to the classific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