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이용수 246
- 영문명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Team Project-Based Appropriate Technology Design Program for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박기수(Ki Su Park) 홍훈기(Hun Ki Hong)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5권 제3호, 239~26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적정기술 주제의 설계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팀 프로젝트를 통해 수행하는 중학교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 19명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프로그램 도입 후 융합에 대한 태도 검사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요인으로 ‘명시적 상황제시’와 ‘융합적 사고가 요구되는 설계 활동’, 그리고 ‘활동 과정에서의 자율성 확보’가 학생들의 융합에 대한 태도의 변화와 연관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도입 후 리더십 검사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이와 관련된 프로그램 요인으로 ‘공동체적 가치의 내면화’, ‘설계 과제의 현장성’, 그리고 ‘단기 집중 팀 프로젝트 활동’이 도출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적정기술의 의미에 대한 인식은 ‘자신과 분리된 타인에 대한 원조’로부터 ‘공감을 통한 타인과의 적극적인 연결’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학교 과학영재 수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의 적용가능성과 함께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개선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iddle school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that introduce design task about appropriate technology, performed through team project activit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fter application to 19 students in a university-attached institute of education for the science-gifted. As a result, post-test scores on ‘Attitude toward convergence’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pre-test scores. Relational factors of this result are ‘suggestion of specified situation,’ ‘design activity that need convergence thinking,’ and ‘ensurance of autonomy in learning activity.’ The post-test scores on ‘Leadership tes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pre-test scores. Relational factors of this result are ‘internalization of communal value,’ ‘authenticity of the design subject,’ and ‘concentrated short-period team project activity.’ After this program, recognition about the meaning of appropriate technology of students changed from ‘assistance to others separated from self’ to ‘active connection to others through sympathy’. From these results, we could check the applicability as a program available for middle school science-gifted classes and specific improvements of program.
목차
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영재와 일반인의 미성취감과 행복도 비교 및 창의성, 과제집착력, 미성취감, 행복도의 관계
- 일반아동, 지적장애아동, 영재아동의 KOPPITZ-2 반응과 임상적 유용성
- 다문화 영재교육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
- 초등고학년 창의성 증진 프로그램(DHA-II)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초등 및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생애역량, 학업소진 및 행복감의 관계
-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의 신뢰도 분석
- 융합수업모델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핵심역량 및 창의적 성격에 미치는 효과
- 조율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영재고등학생과 일반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 비교
- ‘생각의 탄생’-13가지 생각도구를 기초한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교육의 의미 탐색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팀 프로젝트 기반 적정기술 설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 ADHD영재아동과 ADHD아동의 인지·정서행동·양육특성 차이에 관한 혼합연구
- 초등교사의 창의성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도구 개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