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ㆍ15 의거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이용수 133
- 영문명
- The Experiences through The People’ s Resistance against the dictatorial government on 3ㆍ15 and Their Figuration in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정찬영(Jung, Chan-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2집, 354~37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전쟁 이후 더욱 독재체제를 강화한 이승만 정권은 필연적으로 민중의 항거를 피할 수 없었으며, 민중의 항거는 1960년 3ㆍ15의거와 4ㆍ19혁명으로 급기야 독재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정권을 수립한다. 미완의 시민혁명으로 통칭되는 4ㆍ19의 시발이 된 마산 3ㆍ15의거에 대한 관심과 평가는 역사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중요한 일이 되고 있다.
1. 3ㆍ15의거를 소설로 형상화한 김춘복의 『꽃바람 꽃샘바람』은 유일한 소설이라는 점에서, 문학을 넘어 사회과학적 인식의 확대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작품이다.
2. 소설 『꽃바람 꽃샘바람』은 3ㆍ15의거의 모든 과정을 날짜별로 또 시간의 순서대로 가감없이 생동감 있게 그려내고 있다. 곧 서사의 중심축은 1960년 2ㆍ28 대구 학생시위를 시발로 3ㆍ15 부정선거과 1차 항쟁, 김주열 열사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일어난 2차 항쟁의 전과정을 담아내는데 집중하고 있다.
3. 소설의 공간인 마산은 단순히 소설의 구성요소로서 사건들의 발생한 시간과 장소만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 민주화의 성지이며 대한민국 당대의 모순과 정황이 집약된 공간이었던 것이다.
4. 기억의 재현과 재생은 단순이 과거의 되새김질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유관성에서 자리매김한다는 점에서 그 자체가 적극적 실천의 다른 모양이다. 그것은 주체적인 역사경험이며 사회경험의 확산이다. 기억은 기억함으로써 보이지 않던 의미의 지평을 열어 젖혀 기억하고자하는 자들의 사회ㆍ역사의식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제 3ㆍ15의거의 고귀한 정신을 당당히 되돌려 놓은 올바른 자리매김은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 모두의 책무다. 따라서 3ㆍ15의거는 어두웠던 한 시대를 청산하는 마침표가 아니라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 땅에 정착시키기 위한 문주화의 출발점이라는 인식의 공유에 그 참된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 궁극적 목표의 귀결은 인간 존엄성의 회복이며 그것은 곧 정의와 진실이 지배하는 사회, 원칙과 순리가 엄존하는 성숙된 민주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준엄한 역사적 소명의식에 준거하고 있음을 소설 『꽃바람 꽃샘바람』은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Lee Seongman’s government(Political power office) that strengthened its dictatorship after the Korean War couldn’t escape the people’s resistance against Lee’s dictatorial government. Finally, the people’s resistance on 3ㆍ15 and the revolution on 4ㆍ19 had the dictator government overthrown and set up a new democratic government. It has been important to take lots of attention and estimate the people’s resistance on 3ㆍ15 in the historical and the academic studies, which led to the revolution on 4ㆍ19.
1. “A breeze for flowers and A chill wind in the flowering season” by Kim Chunbok is the only novel about the people’s resistance on 3ㆍ15 in Korea.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work in terms of the social science as well as literature.
2. In the work, the people’s resistant events and movements on 3ㆍ15are vividly described in oder of days and time. The narrative focuses on all the stages that started from students’ demonstration at Daegu on 2ㆍ18, 1960, the rigged election on 3ㆍ15 and The first resistance against it, and the second resistance after finding Kim Juyel’s dead.
3. Masan, which is the place in the novel, is not only a fictional place and time but also a holly place for the Korean democratization and an intensive space where there are contradictions and situations of the day.
4. Reproduced memories is not an only rumination on the past but another performance of the positive action because of their establishing relations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It is a diffusion of social experiences as well as historical ones as well.
“A breeze for flowers and A chill wind in the flowering season” by Kim Chunbok contributes to our thought that The people’s resistance against the dictatorial government on 3ㆍ15 is a starting point of the democratization to establish the genuinely democracy in Korea, not a period to clear up a dark time. Thus, it is concluded that goals of this work is to restore the dignity of man, and to go to the democratic society that has justices and truths and values principles and rationalitie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3ㆍ15의거의 의미와 문학적 형상화
3. 『꽃바람 꽃샘바람』의 서사적 특성
4. 3ㆍ15의거와 문학텍스트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 3ㆍ15 의거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 김원일의 〈나는 누구인가〉에 드러난 여성의 중층적 시선과 목소리
- 1960년대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적 자의식 연구- 소설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전략화 양상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 리삼월의 시 세계 연구
- 〈靑陽義婦傅〉의 구조와 의미
- 韓龍雲 시집 『님의 沈默』의 창작원리와 그 의미
-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
- 장애인 소설에 나타난 ‘장애’ 인식의 양상
- 한ㆍ중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문제
-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