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이용수 204
- 영문명
- The function and meaning of property represented in a law court novel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이병직(Lee, Byeong-Jik)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2집, 60~87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이 작품에서 어떤 기능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점을 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송사소설에서는 재물에 대한 인간의 탐욕 때문에 대립과 음모가 일어나고, 송사가 발생하여 재판이 진행되며, 심지어 살인까지 발생하였다. 따라서 재물은 송사의 발생 동인이 되며 서사가 진행되는데 있어 핵심 소재가 된다. 또한 재물은 재판 과정에서 뇌물의 기능을 하여 잘못된 판결로 귀결됨으로써 사회의 부조리를 담고 있다. 한편, 재물은 어려움에 처한 인물이 위기를 벗어나는 수단이 되거나 결핍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었다.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재물 관련 송사소설은 현실적인 소재와 일상의 인물이 등장하여 현실적인 인과논리로 서사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사실적인 의미를 가진다. 또한 재물은 물질적인 이해득실에 따라 비뚤어진 인간관계를 조성하고, 신분관계의 역전을 일으키기도 하며, 친소의 거리를 조장하는 의미를 가진다. 재물 관련 송사소설은 동일 소재 다른 서사물에 비해 인물간의 대립관계가 구체적이고, 생생한 삶의 현장을 생동적으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현상의 핍진한 반영이라는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s to scrutinize what function the property has in a law court novel and what is means.
The function of property represented in a law court novel is like this. In a law court, human greed about the property causes people to have a feeling of confrontation, to make the trial and even to commit murder. Therefore, the property plays a big role in making the incident forward. Also, people use the property as a means of bribery. It makes the court the wrong judgement which leads to the absurdity of society. Sometimes it is used as a way of getting out of the trouble when people are in a dangerous situation.
The property given in a law court novel has many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property reflects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makes the incident forward according to reality rules, Second, it forms invalid human relationships and whether he has big property or not has something to make a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Lastly, this law court novel reveals the complicated conflicts which people make with property.
목차
국문초록
1. 들머리
2.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
3.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의미
4. 맻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 3ㆍ15 의거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 김원일의 〈나는 누구인가〉에 드러난 여성의 중층적 시선과 목소리
- 1960년대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적 자의식 연구- 소설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전략화 양상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 리삼월의 시 세계 연구
- 〈靑陽義婦傅〉의 구조와 의미
- 韓龍雲 시집 『님의 沈默』의 창작원리와 그 의미
-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
- 장애인 소설에 나타난 ‘장애’ 인식의 양상
- 한ㆍ중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문제
-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