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이용수 450
- 영문명
- The Structure of Yeonam’s Later Novels and It’'s Narrative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이원수(Lee, Won-Soo)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2집, 30~59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연암 후기소설 〈허생전〉과 〈호질〉을 대상으로,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구조적 특징과 그러한 구조가 창출해내는 서사적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두 작품은 외형상 전혀 다른 서사적 짜임을 보이지만, 심층적으로는 매우 흡사한 구조적 동질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ㅏ.
연암 후기소설은 두 삽화(episode)의 연쇄, 전반부와 후반부의 대칭구조, 서사적 간접화와 직접 진술의 결합이라는 구조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두 삽화는 상당한 정도의 서사적 완결성과 독립성을 지니고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는 대조적 성격을 지닌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정교한 서사적 연결고리에 의해 하나로 통합되어 있다. 두 작품은 사건을 통한 서사적 간접화와 언술을 통한 직접 진술이라는 이중의 전달 방식을 쓰고 있으며, 직접 진술을 통한 마무리라는 동일한 결말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인물 설정과 어조, 골계 등 다른 서사 요소들에 의해 유기적으로 뒷받침되고 있다. 두 작품의 인물 형상과 역할, 상호관계는 매우 흡사하며, 이는 구조의 유사성과 정확히 대응되고 있다. 또한 두 작품은 패러디나 어조의 부조화에서 창출되는 골계를 폭넓게 활용하고 있으며, 이들은 작품 구조 및 인물 설정 구도 등과 긴밀히 조응하고 있다.
연암 후기소설에서 삽화의 연쇄에 의한 대칭구조는 전반부의 문제 제기와 후반부의 사실 확인이라는 구도를 통해 현상과 본질을 입체적으로 드러내 주고 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의 조응을 통해 작자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또한 서사적 간접화와 직접 진술의 결합은 사건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내었던 생각을 명시적 언술로 재정리해 줌으로써, 서사의 극적 효과는 그것대로 살리면서 작자의 생각이 굴절되지 않고 독자들에게 정확히 전달되게 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Yeonam’s later novels, ‘Huhsaengjeon’ and ‘Hojil’, explaining structural basis they have in common, and what kind of narrative effects it yields. The reason is, although these novels apparently present totally different styles, the in-depth study shows that they are written in a very similar structure.
The structure of Yeonams’s later novels is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of two episodes, the symmetrical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of the work, and the combination of the indirect expressions through events and the direct statements by words. The episodes have a considerable completeness and independence as a story. The two halves of works have contrasting features and form a symmetrical structure. The two works deliver messages through the two track approach, the indirect expressions and the direct statements.
The styles of character developments, the tones and humors used in Yeonam’s later novel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features of structure. The figures and relations of characters, their narrative roles are set in a similar aspect. In two works, this similarity of characters, the humors generated by the parody and the disharmony of tones closely correspond with the structural features.
The contrast of the two halves of the works reveals the phenomena and quiddity by posing the issues in the first half and confirming the facts in the second half.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indirect expressions and direct statements yields the effects that the author’s ideas can be precisely delivered to readers in a dramatic way by redefining the ideas that are indirectly expressed through events.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적 특징
Ⅲ. 구조를 뒷받침하는 서사적 장치
Ⅳ. 작품 구조의 서사적 효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 3ㆍ15 의거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 김원일의 〈나는 누구인가〉에 드러난 여성의 중층적 시선과 목소리
- 1960년대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적 자의식 연구- 소설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전략화 양상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 리삼월의 시 세계 연구
- 〈靑陽義婦傅〉의 구조와 의미
- 韓龍雲 시집 『님의 沈默』의 창작원리와 그 의미
-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
- 장애인 소설에 나타난 ‘장애’ 인식의 양상
- 한ㆍ중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문제
-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