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문제
이용수 829
- 영문명
- Matter of anxiety and torment in Jeong, Ji-Jong’s poem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저자명
- 김종태(Kim, Jong-Tae)
- 간행물 정보
- 『한국문학논총』제62집, 196~222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정지용은 현대성과 전통성을 동시에 갖추어 한국현대시의 확립에 기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주로 활동했던 그는 파란만장한 인생 역정 속에서 다양한 불안과 고통의 서사를 경험해야만 했다. 본고는 연대기적 순서를 중심으로 하여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내면의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장은 원형 상실에 관한 불안을 형상화한 작품을 다루었다. 정지용이 유학을 간 교토라는 근대적 공간은 더 큰 불안 의식을 심어주었다. 결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시인은 오랜만에 고향을 목도한 현실 앞에서 고향을 낯설어하는 이질적 자아를 발견한다. 3장은 근대 공간의 외적 상황이 주는 고통을 형상화한 작품을 다루었다. 정지용에게 도시는 문명 그 자체였다. 도시에 대한 정지용의 호기심은 점차 문명에 대한 부정의식으로 바뀌게 된다. 그는 고단한 문명 생활에 대한 방어기제로서 그 세계를 정지시키거나 파괴하려는 자의식을 보여주었다. 4장은 세속을 초월한 신앙시와 자연서정시에 관하여 다루었다. 정지용은 고향 상실의 불안과 근대 문명의 고통을 이기기 위해서 종교와 자연에 몰입하였다. 그의 몸은 도시에 있었지만 그이 정신은 세속을 초월했다. 이때 시인이 경험하게 되는 열락과 희열은 가상적이고 상징적인 측면이 강하다. 그는 불안과 고통을 보상받고 치유하기 위한 방편으로 가톨릭 신앙과 상상적 죽음의 제의를 선택했다.
정지용의 시세계를 지배한 불안과 고통의 서사는 전통적 맥락과 현대적 맥락에 동시적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그는 타향과 이국 생활, 세 자녀의 사망을 겪으면서 원형적 세계로부터 분리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빠져 있었으며 이 불안감은 근대적 문명 체험을 통해 극대화하여 더 큰 고통을 주게 되었다. 마침내 시인은 종교와 자연에 몰입하는 방법을 통하여 가상적이고 연극적인 희열을 성취하게 된다.
영문 초록
Jeong, Ji-Jong is the poet who had modernity and traditionality. He is the father of modern Korean poem. This thesis studied anxiety and torment in Jeong, Ji-Jong’s poem.
Chapter 1 discussed at the works embodied anxiety in losing his hometown. Jeong, Ji-Jong went to Seoul and Tokyo for studying abroad, but he always missed his hometown. But, poet who changed his mind is strange in hometown which be unchanged.
Chapter 2 discussed at the works embodied extrinsic agony which he feel in modern space. Jeong, Ji-Jong thought of a city as a symbol of civilization. His curiosity about a city gradually changed denial about civilization.
Chapter 3 discussed at the works embodied rising above the world. Jeong, Ji-Jong embodied nature to overcome anxiety about losing his hometown and agony of modern civiliaztion. His body was into a city, but his mind was into nature.
Anxiety and agony were the motive of changing Jeong, Ji-Jong’s poem. His poem gives shape to anxiety and agony and sublimates anxiety and agony. This fact is a importance clue to investigate dynamics of Jeong, Ji-Jong’s poem.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분리 불안과 이질적 자아의 발견
3. 고통의 확산과 방어기제의 작동
4. 회피적 자의식을 통항 가상적 희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謫降 모티프를 통해 본 〈關東別曲〉의 주제
- 연암 후기소설의 구조와 그 서사적 효과
- 3ㆍ15 의거의 경험과 문학적 형상화
- 김원일의 〈나는 누구인가〉에 드러난 여성의 중층적 시선과 목소리
- 1960년대 『산문시대』 동인의 문학적 자의식 연구- 소설을 중심으로
- 2000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전략화 양상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연극텍스트화 연구
- 리삼월의 시 세계 연구
- 〈靑陽義婦傅〉의 구조와 의미
- 韓龍雲 시집 『님의 沈默』의 창작원리와 그 의미
- 오정희의 〈비어 있는 들〉 분석
- 장애인 소설에 나타난 ‘장애’ 인식의 양상
- 한ㆍ중 자전적 신변소설 연구
- 정지용 시에 나타난 불안과 고통의 문제
- 송사소설에 나타난 재물의 기능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학습자 개인차 변인이 문어 숙달도에 미치는 영향 - L2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예
- 한국어교육 36권 2호 목차
- 학습자군의 다양화와 한국어교육의 대응 - 다원적인, 다채로운,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교육 다양성을 위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