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이용수 2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s of Experience Education of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AhnBinRakDo', 安貧樂道)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홍원(Choi, Hong-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0輯, 421~45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lanned to search the contents of experience education aimed at the value of being content amid poverty and taking pleasure in acting in an honest way (henceforth Ahnbinkakl.o) which many works of classic poelry show. Also, I wanted to prove the possibility of it. The experience education about AhnBinRaklli was se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subject of AhnBinRakDo, owing to the reflection on the reality which the logic of economy plays the role as the critical standard of the act of judging all the values. Second, I proposed the experience education in the dimension of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y about existing attitudes which realize and accept the classic literature as uniform and stale object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o sum up, AhnBinRaklli was one of the objects which I chose in the process of plans to define the possibility of the experience education of classic literature. In addition, I considered the universal side as the theme of classic literature and the distinct and specific side which clashes with the value of today.
I took a close look at AhnBinRaklli's functions and meanings as the materials of the reader's 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it historically. The concrete matters of universal, distinct and empathic experience were dealt as pursuit values of community, ways to overcome reality and objects of criticism respectively. These are contents which show the proposition clearly that the value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internalizing into one's life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reader understands, analyses and evaluates underlying values on the base of the experience of value-oriented text world. The follow-up discussions are needed in relation to the investigation of experience education method which deals with the experience structures and methods of value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안빈낙도에 대한 경험 교육적 접근의 의미
Ⅲ. 안빈낙도 경험 교육의 내용
Ⅳ. 가치의 경험과 문학교육론
Ⅴ.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재귀성을 갖는 동사의 의미 제시 방안
- <양반전>에 나타난 선비의식 연구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 서정인 소설의 지형도
-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 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
-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