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이용수 112
- 영문명
- A Study on Focalization of Yeom Sangseop's 「Jitjianneun Gae」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신희교(Sin,Hui-gy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0輯, 193~22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Jitjianneun Gae」is Yeom Sangseop's a short story. I analyzed the work with S. Rimmon-Kennan's focalization theory. I chose the focalization theory as a research method. The focalization theory is composed of two theories. One is extemal focalization and the other is internal focalization. I chose the latter. The latter is composed of three facets. It is perceptual, psychological, ideological facets. In text, perceptual facet exhibited characterfully a limited observer and present-limited focalization. Psychological facet exhibited characterfully an onlooking cognition and inconsistent focalization. Ideological facet exhibited characterfully value-neutrality.
And in text, an internal fccalizer exhibited a certain characteristic of genre, It is 'gyosul literature'. In otrer words, "Jitjianneun GaeJ is dose to the 'gyosul literature'. In this regard "Jiljarneua GaeJ have rrany similarities with 「Mansejeon」. But when publish - time of 'Jitjianneun GaeJ considered, we understand that the text performs allegoric criticism about ideologies of those days. In conclusion, a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focalization and postwar situation would make the meaning clearer.
목차
1. 서론
2. 내적 초점화의 양상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재귀성을 갖는 동사의 의미 제시 방안
- <양반전>에 나타난 선비의식 연구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 서정인 소설의 지형도
-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 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
-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