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이용수 130
- 영문명
-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asures and a Class Model for Korean Course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혜진(Choi, Hye-jin) 강연임(Kang, Yeon-im) 신지연(Sin, Ji-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0輯, 387~41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iagnose the reality of the existing university Korean liberal education and to suggest a new class modet of liberal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education for speaking. Concretely,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which was the Korean liberal course in Mokwon University were suggested as operating a new class model. Based on this, a class model which was newly reformed was suggested. Focusing on speaking which is currently dealt as imparlance, is the subject centered -integrated class combined with reading and writing. With a debate about suggestive subjects for a week and the correction of writings for another week, the actual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feed-back were achieved. For this, the size of a class was limited as 30 people as strengthening the instructor's management system.
The Korean liberal course in university in the current era is facing new turning paint. While the past Korean liberal course focused on reading and writing, now it is necessary to have curriculum to improve self-expression ability focusing on speaking. Based on the fact that the Korean liberal course is the basic knowledge that can include various major areas as being recognized as an essential tool for communication, it is needed to cultivate integrated Korean ability by crossing school system In this paint. this class case and the development plan of curriculum would be a precedent of current Korean course of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목차
1. 머리말
2.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 필요성과 적용 사례
3. 주제토론 중심의 교양국어 <독서와 표현> 수업모형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재귀성을 갖는 동사의 의미 제시 방안
- <양반전>에 나타난 선비의식 연구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 서정인 소설의 지형도
-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 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
-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