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wo or More Functional Finial Endings during the Last Part of the 19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허재영(Heo,Jae-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0輯,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advanced process of the Korean final ending '-SO(-소)', '-0(-오)', '- JI(-지)' and '-Al-EO(-아/-어)'. These morphemes were functioned two or more intention categories.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wo or more functioned intentional final endings from the Underwood's 1893. But these morphemes was studied by Kwon Jae-il(2005).
Second, the morpheme '-SO' was used to declarative and imperative categories. And the morpheme' -0' was used to declarative, imperative and interrogative intentions. The morpheme of '- JI' was used to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categories, and '-A/-EO' was declarative and imperative intentions.
Third, I guessed the formation of these grammatical function was related in the pre-final ending‘-sʌp()-/-ʌp()-’. These morphemes functioned the respected to objects. But these morphemes weakened in the 19th century. So the '-SO', '-ʌp-SO' and '-0' were neutralized the same degree.
Fourth, '- JI' was formed by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bound noun 'dʌ ()'. The morpheme '-JIO' was '-JI-IO', but the postposifonal word 'YO(요)' formed in this time. As a results, the omitted form '- JI' was functioned two or more intentional categories.
Fifth, I guessed the formed of '- AI-EO' was similar to other morphemes's functional change.
목차
1. 서론
2. 19세기 말의 범용 어미
3. 범용 어미의 발달 요인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재귀성을 갖는 동사의 의미 제시 방안
- <양반전>에 나타난 선비의식 연구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 서정인 소설의 지형도
-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 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
-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