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이용수 494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New Songbook(歌集) Cheonggu-yeongeon(靑丘永言)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최현재(Choi,Hyun-ja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80輯,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main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New Songbook cheonggu-yrongron Park Sun-ho Version(『청구영언 박순 호본』)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Songbooks in the Joseon Dynasty. Cheongguveongeori Park Sun-he Version is very similar to Cheoriggu: yeongeon Original Version(『청구영언 진본』) in terms of the overall system or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une and author. In this regard, Cheoriggt): yeongeon Park Sun-he Version is more closely related to Cheonggtiveongeon Original Version than any other Songbook. Therefore it could be provided that Cheongguveongeori Park Sun-ho Version is the songbook which corresponds to the rough copy of Cheongguyeongeon Original Version.
As the rough copy Cheongguveongeon Park Sun-be Version is the research material which shows the compilation prooess of Cheoriggt): yeongeon Original Version very concretely. Therefore there is a necessity which will pay attention to this fael. This fael shows the process where he crilleels the work and compiles the song book well. Consequently it will be able to evaluate that this book is important and counts for much.
Nevertheless, I can not say that Cheongguveongeon Park Sun-ho Version has nothing to do with the songbooks of Cheongguveongeori Jangseogak Version(『청구영언 장서각본』) series. In future I will compare Cheoriggu: yeongeon Park Sun-he Version with the songbooks of Cheonggu-yeongeon Jangseogak Version series minutely and reveal the feature and a value of this book.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grasps the feature of the compilation of the songbooks in the Joseon Dynasty.
목차
1. 머리말
2. 가집의 편제와 작품 배열 방식 비교
3. 작가와 작품 수록 양상 비교
4. 계보학적 위상-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수자의 문법용어에 대한 인식 연구
- 한국어 교육에서 재귀성을 갖는 동사의 의미 제시 방안
- <양반전>에 나타난 선비의식 연구
- ‘안빈낙도(安貧樂道)’의 경험 교육 내용 탐색
- 서정인 소설의 지형도
-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 17世紀 小說文壇과 趙緯韓의 崔陟傳
- 중학생의 쓰기 태도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 연구
-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 새 자료 『청구영언』의 특징과 의의
- <두만강전설>의 전승과 의미
- 지역문학의 중앙문학화 사례
- 대학교양국어의 개선방안과 수업모형 개발
- 『토지』의 탈식민 서사 연구
- 한국어 모어 화자의 물건 사기 대화문과 한국어 교재의 제시대화문 비교 연구
- 염상섭의「짖지 않는 개」에 나타난 초점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