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이용수 243
- 영문명
-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of disability identity, coping self-efficacy and in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조재삼(Jo, Jae Sam) 송인욱(Song, In Uk) 채현탁(Chae, Hyun Tak)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257~2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증뇌성마비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장애정체감과 대처효능감이 그들의 자립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이 지각하는 장애정체감이 자립에 이르는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은 자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처효능감은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처효능감은 장애정체감과 자립 간의 관계를 강화시키는 매개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이 본인의 부정적인 현재 상황에 대해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이 대처효능감은 그들의 자립 증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자립에 있어 대처효능감의 매개역할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addres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disability identity, coping self-efficacy, and independence among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the three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disability ident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However, the coping self-efficacy wa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Hence, the coping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ability identity and the independence. In detail, the disability identity influenced on the coping self-efficacy that makes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to manage their current not-so-benign condition more positively. Also, the coping self-efficacy influenced on the independence. Thu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coping self-efficacy as a mediator to the independence among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In addition, programs to promote the coping self-efficacy among people with severe cerebral palsy sh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