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이용수 1,582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경미(Kim, Kyung Mee) 윤재영(Yoon, Jae-You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95~1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과 이들을 둘러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의 개념을 ICF에 준해 구조화하고 이를 근거로 참여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장애인 당사자의 주관적인 참여 경험을 확인하기 위하여 총 7차례에 거쳐 38명의 장애인을 포커스 그룹 인터뷰하였으며, 363명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여 장애인 참여 개념의 구성체를 탐색하는 양적 및 질적 접근 방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8개 영역으로 구성된 41개의 참여 척도 예비 문항을 도출하여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체적 건강, 의사소통, 대인관계, 이동, 가정생활, 사회·경제생활, 시민생활 등 7개 요인 총4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장애인의 참여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척도에서는 ICF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및 지식의 적용, 일반적인 임무와 욕구 영역 그리고 레크리에이션과 여가는 제외된 반면 사회·경제생활과 시민생활 영역은 강조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e participation scal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ICF). ICF includes a component for classifying and qualifying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their environments. The participation scale were developed using 7 times with different focus groups using the ICIDH-2 as a contextual framework. Candidate 41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8 participation components and put into a survey format. Finally, purposeful sample of 363 people with mobility limitations was conducted survey. As a result of survey, participation scale is composed of 38 items that are placed in 7 domains used in the activity/participation component of the ICF: holisitc health; communication; mobility; domestic life;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relationships; social and economic life; civic life. This scale does not include the domains of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general tasks and demands, recreation and leisure but more focuses on social and civic life.
목차
Ⅰ. 서 론
Ⅱ. ICF 모델과 사회 참여 척도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