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Effect of SONIC ID on Head Position Recognition When Eyes Closed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최보람(Choi, Bo Ram) 김건욱(Kim, Keon Wook) 전혜선(Jeon, Hye Se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281~2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가 머리 위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경부통증이 없는 정상 성인 20명(연령: 22.4±1.4세)을 대상으로 시각이 차단 된 상태에서 머리 재위치 검사(head repositioning test)를 실시하여 머리 재위치각도 오차 값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세 가지 장비 조건(양쪽형 헤드셋을 착용했을 때, 한쪽형 헤드셋을 착용했을 때,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과 세 가지 머리 위치 조건(0°, 20°, 40°)의 상호작용(interaction effect)과 주효과(main effect)를 반복 있는 이요인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머리 재위치 검사 시 각도 오차에 장비 조건과 머리 위치 조건 간의 상호작용은 없었고 (p>.05), 장비 조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5) 머리 위치 조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쪽형 헤드셋 착용시 양쪽형 헤드셋이나 헤드셋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비해 머리 재위치 검사 시 각도 오차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양쪽형 헤드셋을 착용했을 때에는 헤드셋을 착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오히려 오차값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시각장애인의 이동분야에 관련된 보조기구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한쪽형 헤드셋 초음파 음성유도기의 활용의 범위를 시각장애인(visually impaired persons)의 자세조절훈련의 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NIC ID on head position recognition. Twenty visually intact healthy adults(age:22.4±1.4 years) without neck pain (Korean neck disability index score:0~4 poi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head repositioning angle errors were measured during the head repositioning test eyes closed. Using a two-way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ANOVA), this experiment investigates the main effect of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quipment conditions(binaural headset, monaural headset, and no headset) and head rotation angles(0°, 20°,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teraction between equipment conditions and head rotation angles was not determinated(p>.05). 2) There was significant main effect by equipment condition(p<.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y head rotation angle. In post-hoc test, the result of a pairwise comparisons showed the following: 1) The difference between wearing a monaural headset and a binaural headset condi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wearing a monaural headset and not wearing headset condition were significant. 2) The difference in wearing a binaural headset and not wearing a headset condition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we suggest that SONIC ID with monaural headset would be beneficial to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o postural adjustment in trunk and neck area by assisting recognition of body position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