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
- 영문명
- The Effect of Vocational Counselor Characteristics on the Employment utcom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y adopting Hierarchical Linear & Nonlinear Model(HLM)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류정진(Ryu, Jeongj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69~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의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고용정보시스템의 2008년 DB 데이터를 사용하여 장애인의 취업여부, 1년 직업유지여부, 임금소득 등에 대해 장애인과 상담원의 특성이 주는 영향을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담원이 관련전공자일 경우 비전공자에 비해 평균적인 장애인 집단(만 38.8세의 경증남성장애인으로 교육수준이 11.5년이면서 화이트칼라 이외의 직종에 약 96만원을 받기를 희망하는 장애인 집단)의 취업가능성은 낮아지지만 중증장애인과 고임금희망 장애인의 취업가능성은 높아지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상담원의 경력은 평균적인 장애인 집단의 취업 가능성과 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상담원의 인력관리와 자격요건 정비, 지속적인 교육훈련 등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rehabilitation related degree and agency experience) of vocational counselors on the employment outcom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urrent study used the data from 19,303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enrolled at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KEAD) in 2008 to search for a job. The data was analyzed by adopting Hierarchical Linear & Nonlinear Model(HLM)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likelihood of employment, duration of job maintenance and wage level of people with disabilities. Results showed that vocational counselors with rehabilitation related bachelor's or master's degrees achieved significantly higher likelihood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or higher level of reservation wage than vocational counselors with rehabilitation unrelated degrees. Also, vocational counselors' years of agency experi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ikelihood of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everal sugges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