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6
-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s of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Utilization by People with Hearing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준우(Lee, Jun Woo) 김연신(Kim, Youn S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195~2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들의 통신중계서비스 결정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통신중계서비스 이용 확대를 위하여 고려해야 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앤더슨과 뉴만(Andersen and Newman)의 행동주의 모델에 기반하여, 청각장애인 374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요인에서는 장애등급과 교육수준이 서비스 이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등급이 1급에 가까울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통신중계서비스 이용이 증가하였다. 자원요인 가운데에서는 통신비용에 대한 부담 정도가 낮을수록 통신중계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욕구요인에서는 서비스 이용 욕구가 증가할수록 서비스 사용 여부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인의 통신중계서비스 이용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carried out a survey on 374 people with hearing or speech disorders on the basis of activism model of Anderson and Newman, whi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expansion of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utilizat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 factors of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use by people with hearing disorders. The results has shown that in antecedent factors disorder class and education level are the factors to effect of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utilization. In other words, as the disorder class is lower and as the education level is higher it is more likely that they will use the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Regarding the resource factors it has shown that as the charge of communication expense is lower the utilization of the service rises. In need factors it has shown that the degree of the need for the service has a great influence on whether or not to use the service. Based on such study results a proposal for the expansion of telecommunication relay service for people with hearing or speech disorders is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