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이용수 798
- 영문명
-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Physically Disabled Women's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황보옥(Hwangbo, Ok) 박영준(Park, Young-Joo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299~3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관계모형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여성지체장애인 17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SPSS통계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인 AMOS를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모형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을 통한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통합을 통해 삶의 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삶의 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지체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영향요인 중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요인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영문 초록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of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hysically Disabled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develop a causal model linking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hysically Disabled Women in Disabled community center.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implications for Quality of Life for Physically Disabled Women.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hysically Disabled Women who are currently serviced by center and 177 were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data.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hysically Disabled Women. Second,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showe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Social Integration an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 Thus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hysically Disabled Women they need to be satisfied with Social Support and Social Integration then again it makes a contribution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