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이용수 1,006
- 영문명
- A Study of Determinant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Person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오혜경(Oh, Hea Kyung) 정덕진(Jung, Deok J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151~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2008년 전국 규모의 장애인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이차자료분석(Secondary data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차별 요인, 주거환경 요인, 복지인지 요인, 사회경제 요인, 장애와 건강 요인, 일상생활 체감 만족도 요인 등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보면,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는 장애로 인한 문제발생 여부, 주관적 소속계층, ADL, 장애인복지 서비스 경험, 장애문제 발생 시 상담자, 박탈경험, 장애인복지 서비스 인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장애인들에 대한 제도 및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인복지에 대한 함의를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determinant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person. The data was 2008 national survey of handicap,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methods of analysis was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various factors about discrimin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perception of welfare service, socioeconomic factors, disabilities, health and how to feel the life satisfaction to figure out determinant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person. This study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person was determined by a variety of factors such as problems for disabilities,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DL, experience of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person, counselor for solving problems, experienced deprivation and perception of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person. Rehabilitation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 disabled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these factors referred above. Finally this study provided overall implications about rehabilitation for person with disa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