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이용수 269
- 영문명
- Comparison of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According to Presentation Methods with Stimulus in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조수진(Cho, Soo Jin)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4권 제3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육성검사법 vs 녹음재생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를 비교하고, 어음인지역치와 순음평균역치 간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표준화되고 신뢰성 있는 어음청각검사 결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건청 성인 14명과 청각장애 성인 18명이었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청 성인의 육성검사법과 녹음재생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및 순음평균역치와 어음인지역치 간의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녹음재생법으로 어음인지역치를 측정했을 때 순음평균역치와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 성인의 녹음재생법으로 측정한 어음인지역치가 육성검사법보다 더 낮았고, 순음평균역치와 어음인지역치 간의 상관관계는 육성검사법과 녹음재생법에서 모두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음인지역치는 순음평균역치와의 관련성이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가지는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 모두 녹음재생법으로 어음인지역치를 측정했을 때 순음평균역치와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녹음재생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ways to measure the standardized and reliable results of speech audiometry by comparing the speech recognition threshold (SRT)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RT and pure tone average (PTA) according to presentation methods (monitored live voice (MLV) vs. recorded voice (RV)) with stimulus in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adul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14 normal-hearing and 18 hearing-impaired adults and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Win 12.0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presentation methods with stimulu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fe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RT and PTA with MLV and RV testings,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RT and PTA showed higher relevance to RV testing than MLV testing in normal-hearing adults. Second, in hearing-impaired adults the SRT with RV testing was measured lower than MLV testing,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RT and PTA showed high relevance to both testings. In conclusion,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RT and PTA has the important clinical meaning, it will be desirable to use the RV testing if possible because the results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RT and PTA with RV testing was high in both normal-hearing and hearing-impaired adul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케어 서비스 모델의 제안
-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실업탈출 비교분석
- 건청 성인과 청각장애 성인의 자극제시방법에 따른 어음인지역치 비교
- 중증뇌성마비장애인의 장애정체감 및 대처효능감이 자립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 장애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결정요인
- ICF 모델에 기초한 장애인의 참여 척도 개발
- 상담원의 전공과 경력이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인을 위한 통신중계서비스(TRS) 이용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자세조절 특성
- 성인 지적장애인 남동생을 돌보는 비장애 누나들의 부양 경험
- 여성지체장애인의 사회적지지, 사회통합 및 삶의 질과의 인과관계연구
- 시각이 차단된 상태에서 머리 위치 인식을 위한 초음파 음성유도기(SONIC ID)의 효과
-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검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