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Directions for Earl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hysical Literacy: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박성혜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73~8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캐나다 온타리오, 호주의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피지컬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 PL)가 초등 저학년 체육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세 국가의 공식 교육과정 및 정책 문서에서 PL의 교육방향, 교육내용, 정책 및 지원체계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은 학년군 지표를 통해 발달 연속성에 따른 학습 경험을 보장하며 PL을 학습 여정으로 규정하였다. 캐나다 온타리오는 건강 리터러시와 결합하여 PL을 강조하고, Daily Physical Activity (DPA) 제도를 통해 모든 아동의 일상적 신체활동을 제도적으로 보장하였다. 호주는 국가 PL 프레임워크와 교육과정을 정렬하고, 교사용 자료집을 제공함으로써 교육내용과 현장 실행을 긴밀히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세 국가는 PL을 철학적 목표 진술, 구체적 성취기준, 정책적 장치와 현장 자원으로 체계화하여, 신체적·인지적·정의적·사회적 영역의 균형 있는 발달을 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제적 사례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의 교육목표 설정, 발달 친화적 성취기준 개발, 신체활동 보장 정책 및 교사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한국의 향후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 개정과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Physical Literacy (PL) is embedded in earl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y analyzing curriculum documents from the United States, Ontario (Canada), and Australia. The findings revealed that all three countries implemented PL across educational philosophy, curriculum content, and policy support, thereby fostering balanced physical,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Specifically, the U.S. operationalized PL through developmental learning progressions and grade-band indicators; Ontario ensured daily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through the legally mandated Daily Physical Activity (DPA) policy; and Australia aligned its national PL framework with the curriculum, supporting teachers through practical resources such as the Teacher Toolkit. These international comparisons suggest that Korea must move beyond play-centered activities and establish a clear philosophical foundation, independent learning standards, and supportive policy frameworks for earl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grounded in PL. This study provides academic and policy insights into strengthening the legitimacy of earl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Korea,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developing a Korean PL framework and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피지컬 리터러시에 대한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혜. (2025).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 (3), 73-87

MLA

박성혜.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3(2025): 7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