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Research Trend Analysis o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eacher System
발행기관
한국초등체육학회
저자명
정현수 서성혁
간행물 정보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59~7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전담제도의 도입 이후 약 30여 년간 이루어진 국내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시기별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25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논문 58편을 수집하여 착근기(1992~2002), 확산기(2003~2012), 심화기(2013~2025)의 세 시기로 구분하고, 연구 주제·연구 방법·연구 대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 주제는 제도 실태 및 운영 인식, 효과 검증, 현장 경험 탐색, 개선 방안 제시의 네 가지 범주로 도출되었으며, 이 중 개선 방안 제시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제도의 발전 지향성을 보여주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는 초기에는 설문조사를 활용한 양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이후에는 자문화기술지, 내러티브 탐구, 사례연구 등 다양한 질적 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연구 대상은 교사가 80% 이상을 차지하여 제도의 실천 주체로서 교사 경험과 인식을 중점적으로 다룬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 체육전담제도가 제도적 정착 단계에서 출발하여 교사의 전문성·정체성 탐구로 확장되었음을 보여주며, 향후 연구 방법의 다양화와 학생·학부모 등 연구 대상의 확대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의 흐름을 종합하여 체육전담제도의 지속 가능성과 정책적 대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research trends on th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eacher system and to examine their changes across different period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For this purpose, 58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between 1992 and 2025 were collect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phases: the introductory period (1992–2002), the diffusion period (2003–2012), and the deepening period (2013–2025). The analysis focused on research themes, methods, and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research them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he status and perception of system operation, effect verification, exploration of field experiences, and proposals for improvement. Among these, proposals for improvement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highlighting a strong orientation toward system developmen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surveys were dominant in the early period, but qualitative approaches such as autoethnography, narrative inquiry, and case studies gradually increased in subsequent years. Regarding research subjects, teachers accounted for over 80% of the studies, indicating a tendency to focus on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as key practitioners of the system.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research on the physical education specialist teacher system has evolved from diagnosing institutional establishment to exploring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identity.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ethodological diversification and the inclusion of students, parents, and other stakeholders in future research. Overall, this study provides integrated insights into the research trends of the system and offers a foundation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olicy altern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수,서성혁. (2025).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 (3), 59-71

MLA

정현수,서성혁.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1.3(2025): 59-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