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ation of Detailed Factors of Safety Guidelines i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송영범 김재운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43~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체계적인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초등 체육수업에 적합한 안전 가이드라인의 세부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등 체육수업 안전 가이드라인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초등 체육수업 전문가 패널의 델파이 조사를 기반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현장에 적합한 3개의 상위요인(수업, 환경, 제도)과 15개의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들은 높은 신뢰도(Cronbach’s α=.892)와 타당도(CVR, AVE, C.R.)를 확보하였다. 특히, ‘수업’ 요인이 전체 설명력의 42.45%로 핵심적인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제도’ 요인은 최근 교육현장의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여 법제적 기반 조성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과 초등학교 체육수업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 가이드라인의 기초 자료를 마련함으로써, 교사와 학생 모두가 안전한 교육환경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여건을 조성해 나가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detailed factors for developing safety guidelines tailored to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PE) classes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establish a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framework. Using safety guideline factors from middle school PE classes as a foundational reference, the study conducted Delphi Surveys and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s a result, three major factors—Instruction, Environment, and System—and fifteen sub-factors were identified as suitable for the elementary school setting. The factors demonstrated high reliability (Cronbach’s α = .892) and strong validity (CVR, AVE, C.R.). In particular, the 'Instruction' factor was confirmed to be a key factor at 42.45% of the total explanatory power, and the 'System' factor reflected the recent social rea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suggesting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legal found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b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safety guidelines that consider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 context of elementary education, enabl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to engage in PE activities with greater confid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안무 지도 방법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가능성: 소년소녀합창단 사례연구
-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국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 체계 개선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초등 체육 수업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의 활용 가능성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