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lf-Efficacy in Gymnastics Education Conceptual Structure and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정성우 박종태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181~19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체조 수업을 위한 교사 자기효능감의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그 하위 요인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체육실기 과목을 수강하는 예비 초등교사 339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4,857건의 응답 자료를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자기효능감은 교수·학습 효능감, 수업 관리 효능감, 학습지원 효능감, 수업환경 조성 효능감, 안전 지도 효능감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조화되었다. 반응 비율은 교수·학습 효능감이 31.2%(1,516건)로 가장 높았으며, 수업 관리 효능감(22.0%, 1,070건), 학습지원 효능감(19.0%, 922건), 수업환경 조성 효능감(15.7%, 762건), 안전 지도 효능감(12.1%, 587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체조 교육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교사의 전문적 지도 역량이 핵심을 보여주는 동시에 학생들의 불안 해소와 긍정적 수업 분위기 조성, 안전사고 예방 및 대처 역량이 중요한 과제임을 시사한다. 특히, 안전 지도 효능감이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난 것은 교수·학습전략 효능감, 수업관리 효능감, 학생지원 효능감 그리고 수업환경 조성 효능감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예비교사들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체조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수업을 체계적으로 계획·운영하며, 정서적 지원과 안전 관리 능력을 동시 갖출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길러야 한다. 아울러, 교사의 안전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실제적인 수업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연수 및 교재 개발, 에듀테크 기술 활용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eachers’ self-efficacy in gymnastics instruction and to identify its sub-factors. Open-end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39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ed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courses, yielding a total of 4,857 responses.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teachers’ self-efficacy was structured into five factors: instructional efficacy, class management efficacy, learning support efficacy, learning environment organization efficacy, and safety guidance efficacy. The response distribution indicated that instructional efficacy was the highest (31.2%, 1,516 cases), followed by class management efficacy (22.0%, 1,070 cases), learning support efficacy (19.0%, 922 cases), learning environment organization efficacy (15.7%, 762 cases), and safety guidance efficacy (12.1%, 587 cas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fessional instructional competencies are central to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gymnastics education, while alleviating students’ anxiety, fostering a positive learning atmosphere, and ensuring safety remain essential challenges. Notably, the lowest rate for safety guidance efficacy reflects teachers’ perceptions of gymnastics instruction as burdensome, due to frequent accidents and difficulties in handling unexpected situations. Therefore, to enhance the educational value of gymnastics and support students’ healthy development, teachers need to cultivate self-efficacy in systematic lesson planning and classroom management, while also strengthening their capacity for emotional support and safety management. Furthermore,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training programs, instructional resources, and the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is required to reduce the burden of safety guidance an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for effective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안무 지도 방법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가능성: 소년소녀합창단 사례연구
-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국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 체계 개선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초등 체육 수업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의 활용 가능성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4집 목차
-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교육적 인식과 활용 실태
- 글로벌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주대학교 GTU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