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Photovoice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이용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1권 제3호, 155~1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실습 경험과 인식을 다각적으로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부산, 울산, 경남(부울경) 지역의 한 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들로, 체육교과교육론 강의에 참여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진 촬영, 그룹 토론, 의미해석과 의미형성, 결과 공유 및 확산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3개의 대주제(즐거움과 성장으로 아우르는 배움의 체육수업, 체육수업 운영에서 직면하는 현실적 도전, 현장에서 경험한 체육수업을 위한 교수역량과 태도), 9개의 소주제, 50개의 코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은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체육수업 경험을 다양한 사진과 서술로 표현하였고, 여러 차례의 토론 과정을 거치며 새로운 의미로 재구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교사들이 체육수업의 가치와 실제적 의미를 다각도로 인식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체육수업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physical education (PE) practicum through the use of photovoice. Participants were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a science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the Busan-Ulsan-Gyeongnam region, who were taking a elementary PE pedagogy course.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four stages: photo-taking, group discussions, interpretation and meaning-making, and sharing and dissemination of results. As a result, three overarching themes (learning in PE classes encompassing joy and growth, practical challenges faced in conducting PE classes, and teaching competencies and attitudes required for PE classes in practice), nine sub-themes, and 50 codes were derived.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with PE, captured through photovoice, were expressed in diverse photographs and narratives, and the interpreted meanings were reconstructed through multiple discussion process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attitudes for effective PE instruction and demonstrate that practicum serves as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and professional growth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strengthen PE teaching competencies with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플랫폼 기반 안무 지도 방법의 교육적 효과와 적용 가능성: 소년소녀합창단 사례연구
-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초등학교 체육과 국정 교사용 지도서 개발 체계 개선 연구
-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안전 가이드라인 세부요인 탐색
- 초등 체육전담교사 제도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피지컬 리터러시 관점의 초등학교 저학년 체육교육 방향 탐색: 국제 비교 분석
- 체육 실기 강좌에 대한 자율적 동기 및 자기통제가 생활양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 초등교사 체육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사 교육 개선 방안
- 초등교사를 위한 매트운동 구르기 동작의 수준 및 단계별 프로그램 효과
- 초등 체육 수업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EPL)의 활용 가능성 탐색
-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 경험과 인식 탐색
- 초등예비교사의 체조 교육 자기효능감 개념 구조와 요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4집 목차
-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교육적 인식과 활용 실태
- 글로벌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주대학교 GTU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