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이용수  3

영문명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윤은진 정은경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218~239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erceived human-lik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fluences judgments of AI’s moral responsibility.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1) the direct effect of human-likeness on moral responsibility, (2)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moral patiency and perceived moral agency, and (3)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unpleasant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likeness and moral patiency. Data were collected from 270 adult participants in South Korea using an online survey.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negative direct effect of human-likeness on moral responsibility, contrary to initial expectations. However, a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 emerged through a sequential mediation pathway involving patiency and agency, suggesting a suppression effect. Emotional unpleasantness further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human-likeness and moral patiency, such that the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unpleasantness was high.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how the physical appearance of AI, moral cognition, and affective responses interact to influence moral evaluations in human–AI interactions.

영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AI)의 인간 유사성이 AI 도덕적 책임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AI의 인간 유사성과 AI 도덕적 책임 판단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둘째, AI의 인간 유사성과 도덕적 책임 판단의 관계에서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과 도덕적 행위 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적 불쾌감이 AI의 인간 유사성과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성인 27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AI의 인간 유사성은 AI의 도덕적 책임성 판단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AI가 인간과 닮을수록 AI의 도덕적 책임이 더 높다고 판단할 것이라는 예측과는 반대되는 결과였다. 그러나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과 도덕적 행위성을 거치는 순차적 매개 경로가 확인되어, AI의 인간 유사성이 AI의 도덕적 책임 판단에 간접적으로는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서적 불쾌감은 AI의 인간 유사성과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불쾌감이 높은 경우 AI의 인간 유사성이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간-AI 상호작용에서 AI의 인간 유사성, AI 도덕적 책임 판단, 지각된 도덕적 경험성 및 행위성, 불쾌한골짜기(Uncanny Valley) 효과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Human-Likeness of AI and Moral Judgment
Ⅲ. Dyadic Morality as Mediators
Ⅳ. Moderating Role of Emotional Unpleasantness
Ⅴ. Method
Ⅵ. Results
Ⅶ. Discussion
Ⅷ. Conclus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은진,정은경. (2025).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미래사회, 16 (3), 218-239

MLA

윤은진,정은경.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미래사회, 16.3(2025): 218-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