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이용수 9
- 영문명
- Review of the Concept of Science Diplomacy: From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신동민 박경렬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104~11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술경쟁의 파고 속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인공지능(AI)을 비롯한 핵심신흥기술 (CET: Critical Emerging Technology)은 국제정치의 최우선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과학기술외교의 전략적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에 대한 이론적, 개념적 모색은 충분치 않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기존 ‘과학외교(science diplomacy)’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과학기술과 외교의 교차 지점에 있는 학술적, 전략적 논의를 국제정치의 핵심 개념인 ‘국익(national interest)’과 ‘권력(power)’에 대한 개념적 고찰을 바탕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한스 모겐소로 대표되는 국제정치이론의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 시각에서, 과학기술은 권력의 원천을 넘어 정치·군사·경제 등 기존 권력요소를 강화하고 국제질서의 구조적 변화를 야기하고 구성할 수 있는 핵심 요인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과학기술외교는 국제정치 질서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통찰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한국과 같은 중견국의 외교 전략 수립에도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Critical emerging technologie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risen to the forefront of the global political agenda amid intensifying technological competition and the inauguration of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Consequently, the strategic impor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diplomacy has increased and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intersec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diplomacy through the core concepts of international politics, namely national interest and power,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concepts related to “science diplomacy.” As represented by Hans Morgenthau from the perspective of classical realism, together with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cience and technology are not only sources of power but also key factors that can reinforce traditional elements of power, such as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and shape structur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In this context, science and technology diplomacy provides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laborating the foreign policy strategies of middle-power countries,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과학기술외교의 개념적 검토
Ⅲ. 과학기술외교의 국제정치학적 재정립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