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Lonelines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in Recovery from Substance Addiction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양소남 김희영 박소영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84~10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요인(성별, 소득, 직업유무), 건강요인(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회복수준), 사회요인(동거인 여부, 차별경험, 사회자본, 물적자본, 인적자본, 문화자본)으로 구분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알코올 및 약물사용으로 인한 중독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중 지역사회에서 중독 관련 서비스를 1회 이상 이용한 경험이 있는 당사자를 대상으로, 2024년 10월 한 달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중장년층에 해당하는 170명의 자료를 위계적 회귀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요인은 초기 단계에서 직업유무와 성별이 유의하였으나, 사회요인을 포함한 최종모형에서는 영향력이 없었다. 반면 건강요인 중 주관적 스트레스와 회복수준이, 사회요인 중 동거인 여부, 차별경험, 사회자본, 문화자본이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주관적 스트레스 관리와 주관적 회복수준 증진을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동거인이 부재한 경우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 차별 해소를 위한 인식개선과 제도적 지원, 사회자본과 문화자본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 마련에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lonelines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recovering from substance addiction. Predictors were categorized into personal (gender, income, and employment status), health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ived
stress, and recovery level), and social factors (cohabitation status, discrimination experiences, and various forms of capital including social, material, human, and cultural). Participants were adults aged 19 years and older with a history of alcohol or drug
addiction who had accessed community addiction services.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during October 2024. In total, 170 responses from middle-aged adults were analyz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initial stage, employment status and gender were significant individual factors; however, in the final model, which included social factors, their effects were no longer significant. In contrast, perceived stress and recovery level (health factors), along with cohabitation status, discrimination experiences,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social factor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neli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comprehensive interventions focused on stress management and recovery enhancement, the establishment of social support systems for individuals without cohabitants, raising awareness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reduce discrimination, and strategies to strengthe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