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fe-Fulfilling Work for Older Adults in Japan: From Life-Fulfilling Work to Life-Fulfilling Activities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박기훈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17~3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노인을 중심 대상으로 한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를 분석하여 초고령사회에서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삶의 보람 활동’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삶의 보람 취로를 키워드로 하여 일본의 대표적인 네 개의 삶의 보람 취로 사업을 문헌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일본의 대표적인 삶의 보람 취로 사업은 노동 상품성을 전제로 한 취로가 중심이다. 둘째, 일본의 삶의 보람 취로에 참여하는 노인의 수가 매우 적은 것은 삶의 보람 취로가 유상노동의 특성이 강한 ‘취로’ 중심이어서 일정 정도 이상의 능력 있는 노인으로 참여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셋째, 일본의 삶의 보람 취로는 후기고령자의 비중이 높은 초고령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형태의 ‘삶의 보람 활동’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넷째, 후기고령자 비율이 높은 초고령 사회에서 노동 능력이 더 떨어지는 노인에게 실비 보상에 더해 최소한의 대가를 받는 삶의 보람 활동을 명확히 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은 먼저 노인의 삶의 보람 취로에 대한 명확한 개념 규정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의 자율적인 조직을 통해 자발성과 창의성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양한 일의 형태 및 ICT 플랫폼과 같은 다양한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의 일을 통한 사회참여 촉진을 위해 ‘삶의 보람 활동’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삶의 보람 추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삶의 보람 취로에 관한 새로운 연구 주제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나. 아직은 아이디어 수준에 머무는 한계를 갖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life-fulfilling work for older adults in Japan and proposes new forms of life-fulfilling activities suited to a super-aged society. Using life-fulfilling work as the core keyword,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based analysis of four representative life-fulfilling work programs in Jap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se work programs focus on work opportunities informed by the marketability of labor. Second, owing to the programs’ orientation toward paid work, the number of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Japan’s life-fulfilling work programs remains limited, to those with relatively high functional capacity. Third, in super-aged societies, the proportion of the old-old is increasing. Life-fulfilling work shouldtherefore evolve into new activity forms that are more inclusive. Fourth,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which life-fulfilling activities that provide at least a minimal remuneration, in addition to reimbursement for actual expenses, for older adults with reduced work capacity. The implications for Korea are as follows: First, a rigorous conceptual clarification of life-fulfilling work in a super-aged society is required. Second, life-fulfilling work programs should encourage spontaneity and creativity through autonomous organizations led by older adult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diverse work forms and ICT-based modalities that enable older adults’ participation in life-fulfilling work. Fourth, Korea, which also faces a super-aged society, needs to develop new forms of life-fulfilling work, such as life-fulfilling activities, to promote older adults’ social participation through work.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s a new research agenda for life-fulfilling work; however, it remains at the conceptual stag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일본의 대표적 삶의 보람 취로 사업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훈. (2025).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미래사회, 16 (3), 17-34

MLA

박기훈.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미래사회, 16.3(2025): 17-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