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김환 최혜라 한수미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207~2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While gratitude journals have been shown to promote positive emotions by encouraging individuals to record aspects of life that they appreciate, it remains unclear whether people can also express gratitude even for neutral or negative experience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amine this possibility using a vignette-based methodology. A vignette consisting of 10 consecutive everyday events (four positive, three negative, and three neutral) was developed, and 133 online university students were instructed to imagine experiencing the scenario and to write six to eight items in a gratitude journal. The participants’ responses were matched with vignette sentences and analyzed for frequency. Results indicated that gratitude was expressed not only for positive events (e.g., ‘meeting an old friend’) but also for neutral (e.g., ‘rainy morning’) and negative events (e.g., ‘being late to work’). In some cases, participants reframed adverse experiences in a positive light (e.g., ‘I was late, but only by ten minute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individuals are capable of identifying aspects of gratitude even in unfavorable circumstances, suggesting that gratitude functions as a flexible cognitive-affective process that facilitates the reframing of diverse life events.
영문 초록
감사 일기는 삶에서 소중히 여기는 측면들을 기록함으로써 긍정적 정서를 증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람들이 중립적이거나 부정적인 경험에 대해서도 감사를 표현할 수 있는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본 연구는 비네트(vignette) 기반 방법론을 활용하여 이러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일련의 일상생활 사건 10개(긍정 4개, 부정 3개, 중립 3개)로 구성된 비네트를 개발하였고, 온라인대학교 재학생 133명에게 해당 상황을 경험한다고 가정한 뒤 감사 일기에 6∼8개의 항목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참가자의 응답은 비네트 문장과 매칭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감사는 긍정적 사건(예: ‘오랜 친구를 만남’)뿐만 아니라 중립적 사건(예: ‘비 오는 아침’)과 부정적 사건(예: ‘지각’)에도 표현되었다. 일부 경우, 참가자들은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재구성하기도 하였다(예: ‘지각은 했지만, 10분만 늦었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이 불리한 상황에서도 감사의 요소를 발견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감사가 다양한 삶의 사건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유연한 인지-정서적 과정으로 기능함을 시사한다.
목차
Introduction
Method
Results
Discus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