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Adult Learners’ Experience with AI Learning Tools on AI Literacy and Learning Eng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정다혜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176~191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자기효능감, AI 리터러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도권 S 대학교 성인학습자 24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 AI 리터러시, 자기효능감, 학습몰입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과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은 자기효능감, AI 리터러시, 학습몰입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에서 AI 학습도구 활용이 단순 기술 습득을 넘어 학습자의 심리적·인지적 역량 강화에 기여함을 실증하였으며, 성인학습 설계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근거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dult learners’ experiences with AI learning tools, self-efficacy, AI literacy, and learning engagement were investigated,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in the context of adult learning. A total of 248 adult learners enrolled at S University in a metropolitan area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 survey measured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AI learning tools, AI literacy, self-efficacy, and learning engage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bootstrapp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 that adult learners’ experiences with AI learning too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ir self-efficacy, AI literacy, and learning engagement. Furthermore,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with AI learning tools and both AI literacy and learning engage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xperience with AI learning tools contributes not only to technical skill acquisition, but also to enhancing learners’ psychological and cognitive competen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adult-learning programs and AI-integrated educational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