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Generative AI Application Guidelines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이성태 이종원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192~206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이버대학교의 비대면 학습 환경에서 생성형 AI 도구의 급속한 확산은 학습 효율성 향상을 가져오는 동시에, 학습 윤리와 자기주도성 약화라는 문제를 동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학습자의 AI 활용 특성을 분석하고, 국내외 대학의 AI 활용 정책 및 가이드라인을 비교하여 윤리적·자기 주도적 활용 모델을 제시한다.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은 에세이 작성과 토론 게시글 초안 생성에서 AI 사용 비중이 높았으며, 활용 정도에 따라 도구형·의존형·수비형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국내외 주요 사례 및 대학 가이드라인을 검토한 결과, 강의계획서에 AI 허용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고, 활용 사실을 투명하게 공개하며, 비판적 사고 및 AI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반하여 학습자와 교수자를 위한 가이드라인 및 AI 윤리 확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연구 내용을 포함하는 설문조사와 교육 활용 전략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rapid proliferation of generative AI tools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s of cyber universities has enhanced learning efficiency, yet it also presents challenges such as diminished academic integrity and weakened self-directed learning. To address this dilemma, the present study examines learners’ AI usage patterns and compares AI-related policies and guideline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in order to propose a model for ethical and autonomous use. The findings indicate that cyber university learners make extensive use of AI in essay writing and discussion board participation,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instrumental, dependent, and defensive—based on the extent of their reliance. Furthermore, a review of maj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and university guidelines highlights several critical elements: explicitly defining the scope of AI use within syllabi, ensuring transparent disclosure of its application, and strengthening both critical thinking and AI literacy education. Building on these insight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clear guidelines and ethical standards for both learners and instructors. Finally, it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survey instrument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that integrate these research find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분석
Ⅳ.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AI 활용 가이드라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