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이용수 9
- 영문명
-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Hikikomori-Youth and those with Hikikomori Family Members: The Role of Social Networks, Economic St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조은영 강순화 김지영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6권 제3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년의 삶의 질을 경제적 요인에 한정하지 않고 사회적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정성 등 다차원적 자원과의 관계 속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간과된 가족 단위의 은둔경험이 청년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자료 중 만 19∼34세 청년 497명을 분석한 결과, 은둔형 청년은 사회적 관계망 단절, 낮은 경제활동과 소득, 높은 심리적 스트레스 등 가장 취약한 특성을 보였으며 삶의 질도 가장 낮았다.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 역시 비 은둔 청년보다 삶의 질이 낮았다. 사회적 네트워크와 심리적 안정성은 세 집단 모두에서 삶의 질에 유의미하게 작용하였으며, 정서적 지지 결핍과 심리적 소진이 주요 부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은둔 경험이 직·간접적으로 청년의 삶의 질을 저하시킴을 보여주며, 경제적 안정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 심리지원 강화를 위한 유형별 정책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은둔 경험의 직·간접성을 함께 조명함으로써 청년복지정책 설계의 실증적 근거를 제시한 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by analyzing the interrelations between their economic factors,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particular, it investigated an area largely overlooked in previous research; the impact of family-level hikikomori experiences on youth well-being. Using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this study analyzed 497 individuals aged 19∼34. The results revealed that hikikomori youth showed the most vulnerable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al isolation, low economic activity and income, and high psychological stress, resulting in the lowest overall life satisfaction. Lakewise, Youth with hikikomori family members also reported lower life satisfaction than their non-hikikomori peers. While social network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across all groups emotional deprivation and burnout emerged as major negative fac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hikikomori experiences directly and indirectly undermine young adult’s quality of life, underscoring the need for tailored policy interventions that strengthen social connectedness and psychological support alongside economic stability. This study offers empirical evidence for designing youth welfare policy design by illuminating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hikikomori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 은둔형 청년과 은둔형 가족을 둔 청년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사회적 네트워크, 경제적 안정성, 심리적 안정성의 역할
- 부모소명이 취업모의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정요구와 시간-기반 갈등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배우자 사별 노인의 우울 증상 유형과 심리사회적 예측요인
- 과학기술외교 개념의 재모색 - 국제정치학의 관점에서
- 대학 교육에서 기업가적 마인드셋과 기업가적 역량이 대학생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현장실습 실습계획서와 실습일지 분석 - 사이버대 재학생의 지역아동센터 실습을 중심으로 -
- 성인학습자의 AI 학습도구 활용 경험이 AI 리터러시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채팅상담 실무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사이버대학교 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활용 가이드라인 연구
- Human-Likeness and Moral Responsibility in AI: The Roles of Dyadic Morality and Emotional Unpleasantness
- Development of a Vignette-Based Gratitude Journaling Methodology and Analysis of Gratitude List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일본의 노인 삶의 보람 취로 현황 및 과제: 삶의 보람 취로에서 삶의 보람 활동으로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한 저소득 청년이 인지하는 고용장벽의 유형화
- 중장년 약물중독 회복당사자의 외로움 영향요인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