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이용수 18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Writ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among School-aged Students : Literature Review (2016-2025)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선진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85~11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25년 6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총 45편의 연구논문을 추출하여 연구대상, 연구내용,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동향 분석 결과, 쓰기부진 학생 및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대상 선정 시 쓰기성취도검사 결과, 지능검사 결과, 교사 및 학부모 추천, 다른 장애 배제 조건 등 복합적인 기준을 적용한 사례가 많았다. 연구내용은 교수방법과 필자특성에 집중되었으나, 쓰기 이론이나 교육과정 관련 연구는 미미하였다. 연구주제는 철자와 작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글씨쓰기 및 쓰기 신념·태도에 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연구방법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단일대상연구, 집단실험연구 순으로 활용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고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academic literature on school-aged students with writing disabilities and difficult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16 to June 2025.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45 research papers was conducted, specifically analyzing their participants, topics, and methodologies. The analysis revealed a predominant focus on students experiencing writing difficulties, particularly those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Participant selection protocols frequently employed a multifaceted approach incorporating criteria such as writing achievement scores, intellectual aptitude assessments, educator/parent referrals, and the rigorous exclusion of comorbid disabilities. Regarding research topics, studies largely concentrated o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writer characteristics, with a notable lack of inquiry into fundamental writing theories or curriculum development. Key themes primarily encompassed spelling and composition, while handwriting and students' beliefs and attitudes toward writing received relatively limited attention.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research methodologies were descriptive studies, followed by single-subject designs, and then group experimental desig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offers discussion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