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이용수 23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Results of Colleg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장미 김호연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93~2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 읽기 능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TOPIKⅡ 읽기 영역을 활용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경기도 소재 A대학교에 재학 중인 청각장애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제83회 TOPIKⅡ 읽기 영역 50문항을 적용하여 성취도 및 배경 변인별 차이(주 사용 언어, 보조기기, 출신학교), 문항 유형별 정답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균 점수는 69.47점이었으며, 보조기기 착용 여부와 출신학교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읽기 유형별로는 ‘주제 파악’ 문항의 정답률이 가장 높았고, ‘추론’과 ‘문맥 파악’ 문항의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청각장애 학생들이 고차원적 이해가 필요한 문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읽기 능력과 특성을 객관적으로 진단한 기초자료로서, 청각장애 학생의 한국어 읽기 교육을 위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orean reading pro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using the reading sec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I. Thirty colleg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the 50 reading questions from the 83rd TOPIK II. Their overall performance, score differences by background variables (primary language use, assistive hearing devices, and school background), and response rates by question types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average score was 69.47 out of 100.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ased on the use of assistive hearing devices and school background. Among the six question categories, “identifying the topic” showed the highest accuracy rate, while “inference” and “understanding context” had the lowes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face difficulties in higher-order reading skills such as making inferences and interpreting implied meanings.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understanding the reading 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customized Korean read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systems in higher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