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20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the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by a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안보배 홍재영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32~57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하여 특수학교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실행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자문화기술지를 활용하여 생태전환교육 실행 과정에서 교사가 겪은 어려움과 이를 극복해 가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기술하고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생태전환교육의 초기 시도는 특수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수업 전문성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하게 되는 전환점이 되었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교수학습방법을 탐색하며 생태전환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하였다. 셋째, 생태전환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목격한 경험은 교사의 수업 전문성 성찰을 생태전환교육에서 전체 교과로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이는 교사로서의 성장을 이끄는 동력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생태전환교육의 실천은 ‘씨앗을 심는 정원사’, ‘새싹을 가꾸는 정원사’, ‘꽃을 피우는 정원사’라는 비유로 나타나는 교사의 변화 과정을 통해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 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관련 실천 경험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a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implemented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a special school through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analyzes the educational meanings derived from this process. Using autoethnography, the study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and reflection on the challenges encountered and how they were address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itial implementation served as a turning point for reflecting on professional identity and instructional expertise. Collaborative practices, such as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the exploration of teaching strategies, enabled a more systematic implementation. Observing students’ behavioral and emotional growth broadened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teaching expertise and foster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 practice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teacher’s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identity. This transformation is metaphorically described as “a gardener planting seeds,” “nurturing sprouts,” and “blooming flowers.”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support systems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in special schools and calls for further research on teachers’ experiences with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