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Based on PRISMA: Trends in Curriculum-Link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우석 강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58~84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과와 연계된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과 효과를 PRISMA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2025년 3월까지 발표된 문헌을 대상으로 RISS, KISS, e-article, DBpia, 교보문고 스콜라에서 ‘장애이해교육’을 핵심어로 검색하고 PRISMA 절차에 따라 선별하였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수업에서 교과 연계 중재를 시행해 효과를 검증한 연구(단일대상연구, 집단 간 비교, 단일집단 사전·사후)를 포함 기준으로 하였으며, 최종 24편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분석한 결과, 연계한 교과로는 국어(75%), 도덕(54.2%), 사회(37.5%) 순으로 나타났고, 중재 기간은 10–12차시가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령기로는 초등학생 대상이 75%로 높게 나타났다. 효과성은 정의적 영역(장애 수용 태도, 장애 인식 등)에서 95.8%가 유의한 향상을 보고한 반면, 행동적 변화의 실증 검증은 4.2%로 제한적이었다. 측정 도구는 연구자 제작 설문이 주류였고 타당화·신뢰도 보고는 미흡한 사례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및 다양한 교과를 포함한 균형 있는 연구 필요성, 태도 변화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 행동 변화를 확인하는 후속 연구, 교사 전문성 및 학교 차원의 지원 체계 마련, 표준화된 측정 도구 개발, 2022 개정 교육과정과의 정합성을 고려한 연구 방향 제시를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효과를 더 높이는 방안과 통합교육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trends and effects of curriculum-integrat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K–12 students using the PRISMA framework. Literature published up to March 2025 was searched in RISS, KISS, e-article, DBpia, and Kyobo Scholar, and 24 studies that implemented classroom-based interventions were included.
Findings indicated that integration most frequently occurred in Korean language arts (75%), moral education (54.2%), and social studies (37.5%), with interventions typically lasting 10–12 session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unted for 75% of the studies. In terms of effectiveness, 95.8%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ffective domains such as disability acceptance and perceptions, while behavioral change was verified in only 4.2% of the studies. Researcher-developed questionnaires predominated, but reports on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often insufficient.
This review suggests the need for balanced research across school levels and subjects, long-term studies focusing on behavioral chang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easurement tools, and alignment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Ⅴ.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제안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국의 인공지능(AI) 인재 육성 정책과 그 효과분석: 스미스의 정책실행모델을 적용하여
- 한국 대학생들의 역량은 교육과정을 통해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가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