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sensory Storytelling (MSST)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with MSST Implement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원호 이윤희 최화정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42~16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ultisensory Storytelling, MSST) 기반의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SST 수업을 운영한 특수교사 4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연속적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고, Merriam과 Tisdell(2016)의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들은 감각적 경험과 정서적 반응을 중심으로 한 대안적 문해 접근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핵심 문장 중심의 이야기 구성, 감각자료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을 주요 구성 요소로 제시하였다. 다감각적 스토리텔링은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과 이야기 몰입을 유도하며, 교사에게도 의미 있는 경험으로 인식되었다. 이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문해교육 프로그램 설계에 있어, 다감각적 스토리텔링이 성인 발달장애인의 문해 참여를 이끌어내는 대안적 접근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a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sensory Storytelling (MSST)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ree consecutiv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MSST clas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erriam and Tisdell’s (2016)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an alternative literacy approach centered on sensory experi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and they presented as major components a narrative structure centered on key sentences and storytelling that uses sensory materials. MSST elicited learners’ emotional responses and narrative immersion, and it was also perceived as a meaningful experience for teach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designing literacy education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SST can serv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foster literacy participation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