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이용수  24

영문명
The Impact of Differentiated Instruction-Based Civic Education Unit Development on the Civic Compete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하늘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3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 개발 및 실행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민주시민교육 방향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 3명을 대상으로, 도덕·사회·보건·실과·정보 등 교과를 통합한 5개 단원(총 16차시)의 민주시민교육 단원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는 질적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참여관찰, 면담, 현장일지, 학생 결과물, 수업 녹화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적합화 기반 민주시민교육 단원 실행은 학생들의 자기결정, 사회참여, 의사소통, 책임감 등 민주시민성의 핵심 요소에서 실질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학생들은 수업 초기에는 교사의 직접적 지원에 의존하였으나, 차시가 거듭될수록 스스로 의견을 제시하고 활동을 주도하며, 또래와의 협력, 책임 있는 역할 수행, 적극적인 의사소통 등에서 뚜렷한 성장을 보였다. 또한, 비계설정 분석 결과, 직접 지원(하위 비계)에서 자기주도적 행동(상위 비계)으로 변화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행 경험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학생 중심, 맞춤형 교육, 실생활 연계, 학교 자율성 확대 등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신장을 위한 교수전략, 평가 방법, 교사 협력 모델 등 실천적 지침 개발과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향후 다양한 장애유형과 학년, 지역을 포함하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differentiated civic education unit on the civic compete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explored the implications fo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in five integrated civic education units (16 lessons) covering moral education, social studies, health,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information. Using qualitative action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field notes, student work, and lesson recordings. Findings showed that the differentiated civic education units promoted meaningful growth in self-determination, social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responsibility. While students initially depended on direct teacher support, they gradually expressed opinions, took initiative, collaborated with peers, fulfilled roles, and communicated more actively. Scaffold analysis revealed a shift from dependence to independent engagement. These results support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student-centered, individualized civic education as emphasized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ractical instructional strategies, assessment methods, and collaborative models in special education, and calls for further research across broader disability types and context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하늘. (2025).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 (3), 1-31

MLA

김하늘.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8.3(2025): 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