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이용수 22
- 영문명
- A Scoping Review of Strengths-Based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the Life Spa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진혜원 김경민 이숙향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11~14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현장 실천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범위연구(scoping review) 방법을 활용하여 2007년부터 2025년까지 발표된 선행연구 총 23편(국내 9편, 국외 14편)에 대한 연도별 동향,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중재 특성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보고, 하위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는 2007년부터 꾸준히 이루어졌으나 논문 수가 적어 학문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미비하였고, 학령기 연구 참여자와 자폐성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으며 다양한 중재 영역에서 양적 및 질적연구가 고루 수행되고 있었다. 하위주제들은 (1) 강점 기반 중재의 긍정적 영향, (2) 강점 기반 중재 실행의 어려움, (3) 강점 활용을 위한 지원방안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 관련 현장 실천과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strengths-based interventions across the lifespa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derive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Using a scoping review methodology, a total of 23 papers (9 domestic and 14 international)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25 were examined according to publication year, participant characteristics, research methods, intervention features, and sub-them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lthough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07,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mains limited, indicating relatively low scholarly attention. Studies predominantly involved school-aged participants and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it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applied across diverse intervention domains. The identified sub-themes were (1) the positive impacts of strengths-based interventions, (2) challenges in implementation, and (3) strategies for supporting the utilization of strength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strengths-based interventions across the lifespa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