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cused on Interpersonal Etiquette o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다예 곽승철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70~19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성인 7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하여 16회기의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성 기술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행동에서는 비언어적인 행동, 대화의 내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언어적 행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표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인관계에서는 의사소통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발달장애 성인의 정서적 요인에서도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정서 지능에서는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총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우울은 총점과 하위요인 점수가 모두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 대상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tiquette-base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seven participants using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over 16 sess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nts’ social skills. In social behavi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nonverbal behavior and conversation content, but not in verbal behavior. All sub-factors of self-express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nly communi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program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factors. For emotional intelligenc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b-factors, but the total scor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Finally, depression scores, both overall and across sub-factors, decreased after the program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수적합화 원리를 적용한 민주시민교육 단원개발이 특수학급 발달장애학생의 민주시민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사점
-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활용한 저경력 특수교사의 생태전환교육 실행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PRISMA 기반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교과 연계 장애이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학령기 쓰기장애 및 쓰기부진 학생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2016-2025)
- 국내외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강점 기반 중재에 관한 범위연구
- 다감각적 스토리텔링(MSST) 기반의 성인 발달장애인 문해교육 프로그램 적용 가능성 탐색: 특수교사의 MSST 운영 경험을 중심으로
- 대인관계 예절 중심 사회성 기술 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에게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 대학생의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읽기영역 결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EduTech-Utilized Practicum in English Pedagogy Class
- Language Factors in L2 Reading: Testing the Linguistic Threshold Hypothesis
- Reading strategy use by Korean high school students on CSAT English test item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