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Youth Activity Programs for Enhancing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리터러시학회
- 저자명
- 윤유빈(Yoo-Bin Yoon) 김용갑(Yong-Gab Kim) 문성호(Sung-Ho Moon)
- 간행물 정보
- 『리터러시 연구』16권 4호, 35~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활동 기반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생명윤리심의위원회(IRB) 승인 후 11~14세 청소년 30명(실험 15, 통제 15)을 대상으로 8주간 14차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사전과 사후 설문조사 자료를 기술통계 및 Mann-Whitney U,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디지털 정보와 자료 활용’, ‘디지털 콘텐츠 창출과 표현’ 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확인되었다. 이는 참여 중심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한 참여 중심 프로그램 설계와 청소년지도사의 협력적 성장 기반 마련,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의 심층 탐색,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확산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sign a youth activity program for digital literacy and examine its effectiveness. After obtain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his study conducted a program with 30 youths aged 11-14 years,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15 participants) and control group (15 participants). The program comprised 14 sessions and lasted eight weeks. Pre- and post-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Mann-Whitney U 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observed in digital information, data utilization, and digital content creation and expres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youth activity programs focusing on participation effectively promote digital literacy. Consequently, this study recommends designing participatory programs that reflect youths’ interests and need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collaborative growth among youth workers, conducting comprehensive analyses of factors affecting digital literacy, and developing policies to facilitate the dissemination and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digital literacy program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강의에서 매체 효능감과 학습 실재감이 외국인 유학생의 학문적 문식성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매체 의사소통〉 교과서 학습 활동 구현 양상 분석 - 매체 텍스트의 비판적 이해를 중심으로
- 메타버스 한국어 교육의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인과 평가 사례 연구 - 메타버스 세종학당을 중심으로
- 지식·기술·태도 관점에서 본 AI 리터러시 역량 체계 탐색 - OECD 문서를 활용한 텍스트마이닝 중심으로
- 생성형 AI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재구성 방안 - 과정 중심·장르 기반 교육과 AI 리터러시 교육을 통합한 ‘AI 협력 글쓰기 교육 모형’ 제안
- 논증적 글쓰기 교육에서 AI 챗봇 피드백 활용과 학습자 수용 양상 연구 - GPTs 기반 맞춤형 피드백 챗봇 개발 및 교육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미술 전공 학습자 대상 PBL 기반 대학 글쓰기 프로젝트 수업 사례 연구
- 대학 신입생의 자아성찰을 위한 자기 내러티브 글쓰기 교육 연구
-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위한 제안텍스트 분석 - 보고텍스트와 비교를 통한 교수-학습 방안
- 프로젝트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및 적용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효능감과 피드백에 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 연구
- 교양으로서의 문학교육 연구
-
한국과 베트남 리메이크 영화 속에 나타난 문화 요소 고찰 - <완벽한 타인>과
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