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ingle-Case Study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in Reducing Anxiety and Problem Behaviors of a Depressed Middle-Aged Woman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김경현 이은주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1005~10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1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K병원에서 우울장애 진단을 받고 8개월째 우울증 약을 복용 중인 만 46세 직장인 여성이며, 미술치료는 2023년 4월 19일부터 9월 13일까지 주 1회, 60분씩 총 22회기 실시되었다. 측정도구로는 성인 행동평가척도(ASR)검사와 동적 집-나무-사람(K-HTP) 투사그림검사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매 회기 관찰 기록과 작품을 수집하여 연구 대상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성인 행동평가척도(ASR)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우울, 불안, 위축, 회피, 신체증상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적 집-나무-사람(K-HTP) 투사그림검사에서 사전 그림검사에 비해 사후 그림검사에서 집, 나무, 사람의 크기가 커지고 필압이 안정되었으며 수관이 풍성한 큰 나무를 그려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과 삶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것을 표현하였기에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in alleviating anxiety and problem behaviors. A participant was a 46-year-old working woman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pressive disorder at K Hospital and was taking antidepressant medication for eight months at the time of the study. An art therapist executed 22 weekly therapy sessions, each lasting 60 minutes, from April 19 to September 13, 2023. The study adopted the Adult Self-Report (ASR) and the Kinetic House-Tree-Person (K-HTP) projective drawing test, assessment tool and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intervention.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llected observational notes and artworks from each session and analyz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ng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S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internalizing proble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withdrawal, avoidance, and somatic symptoms, as well as externalizing behaviors. Second, the K-HTP drawings showed notable improvements in the post-assessment compared to the pre-assessment. The drawings featured larger and more stable depictions of the house, tree, and person. The participant drew a large tree with a rich canopy-interpreted as a symbol of personal growth and increased optimism-indicating positive behavioral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art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현,이은주. (2025).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 (4), 1005-1022

MLA

김경현,이은주. "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32.4(2025): 1005-10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