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의 수용전념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Art Therapy Experience of a Mother Suffering from Parenting Her Child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전해리가 정은주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959~9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1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머니가 참여한 수용전념 미술치료의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진학을 앞둔 자녀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는 30대 여성 1명이다. 미술치료는 수용전념치료 이론에 따라 불안을 감소하도록 구조화되었으며 주 1회 9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모든 치료 과정은 녹취되었으며 그림 자료와 검사 결과, 연구자의 연구 노트와 내담자의 성찰일지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Clandinin와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방법에 따라 경험과 의미를 도출하였다. 어머니의 경험은 <나를 가둔 모난 틀>, <모난 틀이 낳은 것들>, <모난 틀에서 벗어나>, <나의 길을 발견하다>, <나의 길을 걸어가다>라는 5가지 주제가 담긴 이야기로 구성되었으며, 이러한 경험에는 <개념화된 자기를 발견하다>, <지금-여기에 머물다>, <미술, 진정한 나를 바라보게 하다>, <가치를 향해 나아가게 하다>라는 4가지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수용전념 미술치료가 어머니로 하여금 자녀를 통제하려는 불안한 마음을 알아차리도록 돕고 현재 자신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가치를 향해 전념하도록 격려하는 장으로서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 and meaning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art therapy for a mother of a child about entering elementary school. A study participant was a 30-year-old woman. The study conducted 8 therapy sessions aiming at reducing the anxiety of the mother and her chil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e study collected psychological test results, session-specific artworks, journals, transcripts, and daily experience logs and analyzed these using the narrative method develop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analysis of her experiences revealed five narrative themes: “The rigid framework that confined me,” “What the rigid framework produced,” “Breaking free from the framework,” “Discovering my own path,” and “Walking on my path.” These experiences were interpreted to encompass five key meanings: “Discovering the conceptualized self,” “Breaking free from the past to dwell in the here-and-now,” “Art as a way to face the true self,” and “Moving forward toward values.” In summar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mother could recognize her anxiety and tendencies to control her child through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art therapy, enabling her to focus on the present moment and commit to pursuing values genuinely cherishing he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해리가,정은주. (2025).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의 수용전념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 (4), 959-980

MLA

전해리가,정은주.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의 수용전념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32.4(2025): 959-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