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상담사 및 심리치료사의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 - 1989년~2024년 한국논문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Psychological Counselor and Psychotherapist Empathy - Focused on Korean Research Articles from 1989 to 2024 -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주소연 박은선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889~91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1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상담사 및 심리치료사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89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회지 논문 총 121개 논문을 대상으로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변인을 기준으로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연도별은 1989년에 1편으로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꾸준하게 연구되었다. 둘째, 연구대상별은 심리상담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7편(83.7%)으로 가장 많고, 심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은 상담자 성격, 적응, 훈련 및 수퍼비전 주제 연구 67편(55.4%), 과정 및 성과연구 30편(24.8%), 이론 연구 13편(10.7%), 개관 연구 4편(3.3%), 성과연구 3편(0.8%), 과정연구 3편(0.8%)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 구방법별은 양적 연구가 86편(71.1%)으로 가장 많고, 이론 연구가 17편(14%), 질적 연구가 16편(13.2%), 혼합 연구가 2편(1.7%)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 하위방법은 근거이론, 현상학, 합의적 질적(CQR), 질적분석, 내러티브, 사례연구 순으로 활용되었다. 다섯째, 양적 연구에서 연구변인을 분석한 결과, 상담자 변인은 소진, 내담자 변인은 상담성과, 상담자-내담자 상호관련 변인은 작업동맹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사 및 심리치료사 공감 연구에 대한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mpathy among psychological counselors and psychotherapist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examined 121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1989 to 2024, based on the year of publication, and research object, topic, method, a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ublication year, there was only one published paper in 1989 and the number of article publishment was steadily increased over time.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s, studies of 87 papers (83.7%) targeted psychological counselors, while studies focusing on psychotherapists were relatively fewer.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there were 67 studies (55.4%) about counselor personality, adaptation, training, and supervision; 30 studies (24.8%) about the process and outcome of research; 13 studies (10.7%) about research theory; 4 studies (3.3%) about study review; 3 studies (0.8%) about research outcome; and 3 studies (0.8%) about research process.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86 papers (71.1%) were about quantitative research, followed by theoretical research with 17 papers (14%), qualitative research with 16 papers (13.2%), and mixed research with 2 papers (1.7%). The qualitative research, of the sub-methods were theory, phenomenolog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qualitative analysis, narrative, and case studies, in that order. Fifth, after analyzing research variable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most studied variables were counselors‘s burnout, counseling outcomes for clients, and the working alliance as the interrelated variable between counselors and their client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어머니와 사별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작업을 통해 경험하는 애도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심리상담사 및 심리치료사의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 - 1989년~2024년 한국논문을 중심으로 -
-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중심으로
-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의 수용전념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