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the Training Analysis Experience of a Newlywed Art Therapis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권규원 신지현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2권 제4호, 913~9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1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혼기 미술치료사가 교육분석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구하였다. 연구자는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을 생동감 있게 전달하고자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연구자는 30대 신혼기 여성이자 프리랜서 미술치료사이다. 교육분석은 결혼 전인 2022년 1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그리고 결혼 후인 2024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20회기 진행되었다.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은 <기대의 그림자를 마주하다>, <책임의 무게를 지다>, <용기의 힘이 피어나다>이다. 이를 바탕으로, <관찰자로서의 나를 인식하고 수용하다>, <자기돌봄으로 존재가치를 발견하다>, <유연한 선택과 행동으로 관계를 연결하다>라는 경험의 의미를 생성하였다. 교육분석을 경험한 신혼기 미술치료사는 자기수용 과정을 통해 심리적 유연성을 형성할 수 있었고, 치료 현장에서의 전문성 발휘와 연결되었다. 또한, 교육분석이 신혼기라는 생애 전환점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심리적 독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탐색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training analysis experience of a newlywed art therapist and meanings discovered from therapy process. This study vividly presented the researcher’s experience using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The researcher, who was both the study participant and a newlywed woman in her 30s, was a freelance art therapist. The therapist conducted 20 training analysis sessions before and after marriage from December 2022 to May 2024. The training analysis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 was categorized as follows: ‘Facing the shadow of expectations,’ ‘Carrying the weight of responsibility,’ and ‘Sensing the emergence of courage.’ Based on these narratives, the following meanings were generated: ‘Recognizing and accepting the self as an observer,’ ‘Finding the value of my being through self-compassion,’ and ‘Building relationships through flexible choices and actions.’ Through the process of self-acceptance, the newlywed art therapist developed psychological flexibility, which contributed to enhanced professional competency in clinical practi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raining analysi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identity and psychological individuation during the transitional life stage of marriag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broader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어머니와 사별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작업을 통해 경험하는 애도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연구
- 국내외 트라우마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심리상담사 및 심리치료사의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 - 1989년~2024년 한국논문을 중심으로 -
- 학교상담자의 자기돌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도정신치료 기반 오픈스튜디오 중심으로
- 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어머니의 수용전념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우울 중년여성의 불안 및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디지털 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미술치료에서의 증거기반 사례개념화 적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 미술치료가 ADHD를 동반한 경도지적장애 아동의 불안 및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신혼기 미술치료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